메뉴 건너뛰기

보도자료

본문시작

안녕하세요, 산업수학센터 학생기자 이용진입니다. 오늘은 산업수학센터 소속 서인석 교수님(수리과학부)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인석 교수님은 2016년 뉴욕대학교(NYU)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으신 후 UC Berkeley에서 포닥 과정을 거쳐 2017년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에 부임하셨는데요. 서인석 교수님께서는 금융수학을 전공하시고 해당 분야와 관련된 산업수학의 문제들에 대해서도 활발한 연구를 이어나가고 계신데,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를 진행하고 계신지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ec15430acb8d78fe81bd9f7b33cef754.jpg

 

Q. 교수님께서 산업수학과 관련해 수행하고 계신 연구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저는 크게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딥러닝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알고리즘의 속도나 성능을 개선하는 방향의 연구입니다. 딥러닝의 알고리즘을 수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사실 아주 어려운 문제여서 이를 적당히 해결할 수 있는 형태로 단순화하여 원리를 밝혀내는 것이 핵심인데, 이 과정에서 너무 과도한 단순화로 인해 모델이 형해화되지 않는 것이 어려운 부분입니다. 두 번째는 딥러닝이나 AI를 이용한 보안 공격 등에 대응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인데요. 이에 대해서는 진행상태와 연구주제의 특성상 자세한 내용을 밝히기는 힘들지만, 확률론을 이용한 모델링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점점 산업 문제에 수학을 결합하는 산업수학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산업 및 다른 학문 분야에서 수학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A. 물론 기술의 발전에서도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산업에서 사용하는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이를 적절히 운용하고, 발생하는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수학적 사고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제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들이 대부분 그런 상황과 관련된 연구입니다. 기술을 주어진 매뉴얼대로 사용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이나 보안 공격과 같이 그 기술의 본질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수학 외에는 다른 좋은 방법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Q. 수학 연구자들이 순수수학을 넘어 산업수학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A. 저는 순수수학과 산업수학을 배타적인 개념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산업수학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가 하는 질문에는 조금 다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저의 경우를 살펴보아도 제가 특별한 목적의식을 가지지 않고 연구하던 순수수학의 문제들이 알고 보니 세상의 문제들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였습니다. 수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넓은 시각을 가지고 내가 연구하고 있는 문제가 수학의 다른 세상, 또는 수학 밖의 다른 세상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깊게 생각할 수만 있다면 우리가 하는 수학은 때로는 순수수학이고 때로는 산업수학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Q. 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산업수학과 관련해)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으신가요?

A. 수학은 스스로 발전해오기도 했지만 동시에 세상과 꾸준히 상호작용하면서 발전해 왔습니다. 그 상호작용의 매개체는 물리학, 경제학, 전산학 등 다양한 학문이었습니다. 이 매개체에 산업 기술이 연관된 수학이 산업수학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앞서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자신이 하는 수학이 세상의 어느 부분과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꾸준히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확률론 분야의 주요 문제들을 활발히 연구하고 계신 서인석 교수님을 만나봤습니다. 바쁘신 와중에 인터뷰에 응해주신 서인석 교수님께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학생기자 이용진(수리과학부 16)